[이슈&뉴스] “지진 시스템 정비 서둘러야”

입력 2016.09.19 (21:31) 수정 2016.09.20 (10: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규모 5.8, 관측 이래 최강이었던 경주 지진이 발생한 지 일주일째 입니다.

지금까지 피해 내역을 보면 병원을 찾은 사람이 160명, 이 가운데 부상 환자는 23명입니다.

떨어지는 물건에 다치거나 몸을 피하면서 넘어져 다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재산피해는 모두 5천 9백여 건이 신고됐습니다.

지붕 파손과 건물 균열, 담장 파손 등이 80%로 가장 많고, 도로에 금이 가거나 수도 배관과 유리창이 파손되는 피해도 10%가량 됩니다.

여진은 지난 1주일 동안 370여 차례나 이어졌고, 지금도 여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복구는 지지부진하고 안전불감증은 여전합니다.

윤나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복구 지지부진…‘안전불감증’ 여전▼

<리포트>

학교 화장실 천정이 무너졌고 바닥에는 흙벽이 나뒹굽니다.

교실 천정 석고보드도 부서져 위태롭게 매달려 있습니다.

계단은 세로로 길게 금이 갔지만 학생들은 별다른 통제없이 오르내립니다.

지진으로 건물이 부서져 이처럼 출입금지 줄이 설치됐지만 바로 옆에서는 유치원생들이 평소처럼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경주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학교는 모두 43곳, 한 곳을 제외한 모든 학교가 전문가 안전진단 없이 정상 수업을 했습니다.

교육부의 지진 관련 매뉴얼에는 사전 점검에 관한 내용조차 없습니다.

<인터뷰> 고수현(경주 00여고 1학년) : "학교 나올때 좀 불안했는데 괜찮다고 하니까 (등교했습니다.) 지금도 금간거 볼때마다 불안해요. 많이..."

비바람에 기왓장이 떨어져 차량을 덮쳤고 여기저기 부서진 기와가 나뒹굴고 있지만 안전조치는 전혀 없습니다.

<인터뷰> 주민(경북 경주시 사정동) : "어떻게 해줘야 되는데 계속 이래놓고 연락해도 바쁘다고 오지도 않아요."

비닐로 대충 덮은 기와지붕은 강풍에 다시 무너지는 등 1주일동안 응급복구만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지진이 덮친 지 1주일 제대로된 매뉴얼 없이 우왕좌왕하고 있는 사이 주민들의 불안감만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나경입니다.

▼ 한반도 강진 가능성과 예상 피해 분석해보니▼

<기자 멘트>

이번 강진이 났던 경주 지역은 양산단층을 축으로 작은 단층들이 모여 있는 곳입니다.

5년 전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가 취약한 단층대를 뒤흔든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반도 전체로 보면 이런 단층은 50~60개가 산재돼 있습니다.

1978년 이후 지진 발생 지역과 겹쳐보면 단층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있죠.

추가로 강진이 발생할 수 있는 단층이 더 있음을 의미합니다.

지진 전문가들은 최대 규모 6.5까지의 지진이 한반도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역사 기록상 규모 6이 넘는 지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남한산성에 규모 6.5의 강진을 가정해봤습니다.

수도권에서는 가옥이 무너지는 진도 7의 흔들림이, 제주도에도 사람이 뛰쳐나오는 진도 3이 전달됩니다.

서울 강남구에서만 사망자가 7백 명이 넘고, 부상자는 만5천명에 달할 것이란 예측도 있습니다.

수도권 건물의 40%가 붕괴하는 심각한 손상을 입고, 피해액은 20조원에 가까울 거라는 상상하기 힘든 예측도 나와있습니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지진에 대한 대비가 그만큼 소홀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부랴부랴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처방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세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지진문자 기상청 발송” …대책 서둘해야▼

<리포트>

지난 12일 지진 발생 당시 기상청이 국민안전처에 조기 경보를 발령한 건 26초 뒤,

하지만 긴급재난문자가 도착한 건 9분이 지난 뒤였습니다.

비판이 일자, 정부는 안전처 대신 기상청이 재난문자 발송을 담당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조기 경보와 동시에 재난 문자를 보내고, 이를 KBS 등 방송국과 연계시켜 1분 안에 국민들에게 전파한다는 것입니다.

<녹취> 국민안전처 관계자(음성변조) : "시간이 훨씬 줄겠죠. (긴급재난문자는) 이동통신기지국으로 나가기 때문에 어디에서 보내든 상관없습니다."

정부는 또 내후년 4월까지 원전 24기의 내진 성능을 규모 7에도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일반 건축물의 3분의 2는 여전히 내진 설계조차 돼 있지 않고, 특히, 대도시 건물의 내진율은 30% 미만에 그쳐 상황이 심각합니다.

무엇보다 시급한 건 활성단층 지도의 제작입니다.

정부는 뒤늦게 내년부터 5년간 백억여 원을 투자해 활성단층 연구를 벌이기로 했지만, 유의미한 지도를 만들기 위해선 최소 20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인터뷰> 이호준(삼성화재 방재연구소) : "활성단층 면의 크기에 따라서 거기 잠재돼 있는 지진의 크기가 나오기 때문에...지금부터라도 그 중요성을 사회적으로 인식하고 빨리 시작해서 완성도를 높이는 쪽으로 가는 게 굉장히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전문가들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범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함께 사회 전반의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지진 시스템 정비 서둘러야”
    • 입력 2016-09-19 21:36:51
    • 수정2016-09-20 10:22:32
    뉴스 9
<앵커 멘트> 규모 5.8, 관측 이래 최강이었던 경주 지진이 발생한 지 일주일째 입니다. 지금까지 피해 내역을 보면 병원을 찾은 사람이 160명, 이 가운데 부상 환자는 23명입니다. 떨어지는 물건에 다치거나 몸을 피하면서 넘어져 다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재산피해는 모두 5천 9백여 건이 신고됐습니다. 지붕 파손과 건물 균열, 담장 파손 등이 80%로 가장 많고, 도로에 금이 가거나 수도 배관과 유리창이 파손되는 피해도 10%가량 됩니다. 여진은 지난 1주일 동안 370여 차례나 이어졌고, 지금도 여진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복구는 지지부진하고 안전불감증은 여전합니다. 윤나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복구 지지부진…‘안전불감증’ 여전▼ <리포트> 학교 화장실 천정이 무너졌고 바닥에는 흙벽이 나뒹굽니다. 교실 천정 석고보드도 부서져 위태롭게 매달려 있습니다. 계단은 세로로 길게 금이 갔지만 학생들은 별다른 통제없이 오르내립니다. 지진으로 건물이 부서져 이처럼 출입금지 줄이 설치됐지만 바로 옆에서는 유치원생들이 평소처럼 수업을 하고 있습니다. 경주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학교는 모두 43곳, 한 곳을 제외한 모든 학교가 전문가 안전진단 없이 정상 수업을 했습니다. 교육부의 지진 관련 매뉴얼에는 사전 점검에 관한 내용조차 없습니다. <인터뷰> 고수현(경주 00여고 1학년) : "학교 나올때 좀 불안했는데 괜찮다고 하니까 (등교했습니다.) 지금도 금간거 볼때마다 불안해요. 많이..." 비바람에 기왓장이 떨어져 차량을 덮쳤고 여기저기 부서진 기와가 나뒹굴고 있지만 안전조치는 전혀 없습니다. <인터뷰> 주민(경북 경주시 사정동) : "어떻게 해줘야 되는데 계속 이래놓고 연락해도 바쁘다고 오지도 않아요." 비닐로 대충 덮은 기와지붕은 강풍에 다시 무너지는 등 1주일동안 응급복구만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지진이 덮친 지 1주일 제대로된 매뉴얼 없이 우왕좌왕하고 있는 사이 주민들의 불안감만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윤나경입니다. ▼ 한반도 강진 가능성과 예상 피해 분석해보니▼ <기자 멘트> 이번 강진이 났던 경주 지역은 양산단층을 축으로 작은 단층들이 모여 있는 곳입니다. 5년 전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가 취약한 단층대를 뒤흔든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반도 전체로 보면 이런 단층은 50~60개가 산재돼 있습니다. 1978년 이후 지진 발생 지역과 겹쳐보면 단층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고 있죠. 추가로 강진이 발생할 수 있는 단층이 더 있음을 의미합니다. 지진 전문가들은 최대 규모 6.5까지의 지진이 한반도 어디서든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역사 기록상 규모 6이 넘는 지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남한산성에 규모 6.5의 강진을 가정해봤습니다. 수도권에서는 가옥이 무너지는 진도 7의 흔들림이, 제주도에도 사람이 뛰쳐나오는 진도 3이 전달됩니다. 서울 강남구에서만 사망자가 7백 명이 넘고, 부상자는 만5천명에 달할 것이란 예측도 있습니다. 수도권 건물의 40%가 붕괴하는 심각한 손상을 입고, 피해액은 20조원에 가까울 거라는 상상하기 힘든 예측도 나와있습니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지진에 대한 대비가 그만큼 소홀했기 때문입니다. 정부가 부랴부랴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보다 근본적인 처방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이세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지진문자 기상청 발송” …대책 서둘해야▼ <리포트> 지난 12일 지진 발생 당시 기상청이 국민안전처에 조기 경보를 발령한 건 26초 뒤, 하지만 긴급재난문자가 도착한 건 9분이 지난 뒤였습니다. 비판이 일자, 정부는 안전처 대신 기상청이 재난문자 발송을 담당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조기 경보와 동시에 재난 문자를 보내고, 이를 KBS 등 방송국과 연계시켜 1분 안에 국민들에게 전파한다는 것입니다. <녹취> 국민안전처 관계자(음성변조) : "시간이 훨씬 줄겠죠. (긴급재난문자는) 이동통신기지국으로 나가기 때문에 어디에서 보내든 상관없습니다." 정부는 또 내후년 4월까지 원전 24기의 내진 성능을 규모 7에도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도록 했습니다. 하지만 일반 건축물의 3분의 2는 여전히 내진 설계조차 돼 있지 않고, 특히, 대도시 건물의 내진율은 30% 미만에 그쳐 상황이 심각합니다. 무엇보다 시급한 건 활성단층 지도의 제작입니다. 정부는 뒤늦게 내년부터 5년간 백억여 원을 투자해 활성단층 연구를 벌이기로 했지만, 유의미한 지도를 만들기 위해선 최소 20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인터뷰> 이호준(삼성화재 방재연구소) : "활성단층 면의 크기에 따라서 거기 잠재돼 있는 지진의 크기가 나오기 때문에...지금부터라도 그 중요성을 사회적으로 인식하고 빨리 시작해서 완성도를 높이는 쪽으로 가는 게 굉장히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전문가들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범정부 차원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과 함께 사회 전반의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