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절약국’ 일본, 그 배경은?

입력 2008.07.09 (2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처럼 원유를 100%수입하는 일본의 경우는 어떨까요?
기업도 가정도 에너지 효율화가 몸에 베여 있어 사활을 건 절약 정신으로 극복해 나가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김대홍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일본을 상징하는 전국의 대형 건물 7만 6천 곳에서 일제히 불이 꺼졌습니다.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을 알리는 행삽니다.

<인터뷰> 시민(여자) : "오늘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기를 끈다면 좋겠어요."

최근 이 슈퍼마켓은 모든 형광등을 에너지 절약형으로 바꿨습니다.

24시간 가동되는 냉장용 설비도 최신 에너지 절감장치로 교체됐습니다.

시설 교체비용은 절감되는 연간 1억원 정도의 전기료로 충당합니다.

자동차 모터를 생산하는 이 기업은 LP가스 대신 천연가스로 에너지원을 바꾸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공장장 : "CO2 배출량도 줄이고 경비절감 효과도 있어 천연가스로 바꿀 계획입니다."

일본은 2차 오일쇼크가 발생한 지난 1979년 에너지 절약법을 제정해 에너지 절약을 장기적 국가시책으로 정착시켰습니다.

그 결과 일본은 지난 70년대 오일쇼크 이래 GDP는 5배 가까이 늘었지만 원유수입은 오히려 15% 줄었습니다.

한국의 3배를 넘는 에너지 효율이 그 배경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김대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에너지 절약국’ 일본, 그 배경은?
    • 입력 2008-07-09 21:02:02
    뉴스 9
<앵커 멘트> 우리나라처럼 원유를 100%수입하는 일본의 경우는 어떨까요? 기업도 가정도 에너지 효율화가 몸에 베여 있어 사활을 건 절약 정신으로 극복해 나가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김대홍 특파원이 전합니다. <리포트> 일본을 상징하는 전국의 대형 건물 7만 6천 곳에서 일제히 불이 꺼졌습니다.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을 알리는 행삽니다. <인터뷰> 시민(여자) : "오늘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기를 끈다면 좋겠어요." 최근 이 슈퍼마켓은 모든 형광등을 에너지 절약형으로 바꿨습니다. 24시간 가동되는 냉장용 설비도 최신 에너지 절감장치로 교체됐습니다. 시설 교체비용은 절감되는 연간 1억원 정도의 전기료로 충당합니다. 자동차 모터를 생산하는 이 기업은 LP가스 대신 천연가스로 에너지원을 바꾸기로 했습니다. <인터뷰> 공장장 : "CO2 배출량도 줄이고 경비절감 효과도 있어 천연가스로 바꿀 계획입니다." 일본은 2차 오일쇼크가 발생한 지난 1979년 에너지 절약법을 제정해 에너지 절약을 장기적 국가시책으로 정착시켰습니다. 그 결과 일본은 지난 70년대 오일쇼크 이래 GDP는 5배 가까이 늘었지만 원유수입은 오히려 15% 줄었습니다. 한국의 3배를 넘는 에너지 효율이 그 배경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김대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이슈

고유가·고물가 경제 비상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