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가정의 달 기획보도, 이번 주는 방관할 수 없는 가정폭력 문제를 사회적으로 풀어보는 방안을 살펴봅니다.
가정폭력 역시 범죄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법적 조치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조성원 기자입니다.
⊙기자: 엄마가 집어던져 다리가 부러진 아기, 부모의 구타로 피멍이 든 어린이.
더욱 심각한 것은 정신적 상처입니다.
⊙유복순(동방사회복지회 사무국장): 생활에서 자신감이 없다는 거죠.
아이들하고 못 어울리고 섞이지를 못해요.
⊙기자: 지난해 여동생이 동거남에게 살해당한 황 모씨.
사건 닷새 전 경찰에 신고를 했지만 별다른 조치가 없었다고 호소합니다.
⊙황 모씨(피해자 오빠/음성변조): (가해자를) 끌고 가서 조사하랬더니 자기(경찰)는 모르겠다며 알아서 하라고 했습니다.
⊙기자: 집안일이라며 쉬쉬하다 문제를 키우기 일쑤였던 가정폭력.
이제 법적 대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자녀학대가 심각할 경우 부모의 친권을 정지하고 의사와 교사 등이 신고의무를 소홀히 하면 처벌합니다.
⊙박순자(한나라당 의원/법안 발의): 친권에 대해서 격리조항이 강조되다 보면 아동보호센터에서 정서적으로나 또 심리적으로 굉장히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고...
⊙기자: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긴급개입 권한을 강화하고 우범자는 반드시 기소하며 피해자 치료비를 국가가 보조합니다.
⊙홍미영(열린우리당 의원/법안발의): 사회적으로 가정폭력이 범죄다 하는 인식을 확인시켜줄 수 있는 그런 효과가 있다고 봅니다.
⊙기자: 가정, 사랑이 우선이지만 때로는 법의 보호도 필요합니다.
KBS뉴스 조성원입니다.
가정폭력 역시 범죄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법적 조치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조성원 기자입니다.
⊙기자: 엄마가 집어던져 다리가 부러진 아기, 부모의 구타로 피멍이 든 어린이.
더욱 심각한 것은 정신적 상처입니다.
⊙유복순(동방사회복지회 사무국장): 생활에서 자신감이 없다는 거죠.
아이들하고 못 어울리고 섞이지를 못해요.
⊙기자: 지난해 여동생이 동거남에게 살해당한 황 모씨.
사건 닷새 전 경찰에 신고를 했지만 별다른 조치가 없었다고 호소합니다.
⊙황 모씨(피해자 오빠/음성변조): (가해자를) 끌고 가서 조사하랬더니 자기(경찰)는 모르겠다며 알아서 하라고 했습니다.
⊙기자: 집안일이라며 쉬쉬하다 문제를 키우기 일쑤였던 가정폭력.
이제 법적 대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자녀학대가 심각할 경우 부모의 친권을 정지하고 의사와 교사 등이 신고의무를 소홀히 하면 처벌합니다.
⊙박순자(한나라당 의원/법안 발의): 친권에 대해서 격리조항이 강조되다 보면 아동보호센터에서 정서적으로나 또 심리적으로 굉장히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고...
⊙기자: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긴급개입 권한을 강화하고 우범자는 반드시 기소하며 피해자 치료비를 국가가 보조합니다.
⊙홍미영(열린우리당 의원/법안발의): 사회적으로 가정폭력이 범죄다 하는 인식을 확인시켜줄 수 있는 그런 효과가 있다고 봅니다.
⊙기자: 가정, 사랑이 우선이지만 때로는 법의 보호도 필요합니다.
KBS뉴스 조성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정 폭력 처벌·구제 강화
-
- 입력 2005-05-23 21:42:37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가정의 달 기획보도, 이번 주는 방관할 수 없는 가정폭력 문제를 사회적으로 풀어보는 방안을 살펴봅니다.
가정폭력 역시 범죄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법적 조치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조성원 기자입니다.
⊙기자: 엄마가 집어던져 다리가 부러진 아기, 부모의 구타로 피멍이 든 어린이.
더욱 심각한 것은 정신적 상처입니다.
⊙유복순(동방사회복지회 사무국장): 생활에서 자신감이 없다는 거죠.
아이들하고 못 어울리고 섞이지를 못해요.
⊙기자: 지난해 여동생이 동거남에게 살해당한 황 모씨.
사건 닷새 전 경찰에 신고를 했지만 별다른 조치가 없었다고 호소합니다.
⊙황 모씨(피해자 오빠/음성변조): (가해자를) 끌고 가서 조사하랬더니 자기(경찰)는 모르겠다며 알아서 하라고 했습니다.
⊙기자: 집안일이라며 쉬쉬하다 문제를 키우기 일쑤였던 가정폭력.
이제 법적 대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자녀학대가 심각할 경우 부모의 친권을 정지하고 의사와 교사 등이 신고의무를 소홀히 하면 처벌합니다.
⊙박순자(한나라당 의원/법안 발의): 친권에 대해서 격리조항이 강조되다 보면 아동보호센터에서 정서적으로나 또 심리적으로 굉장히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고...
⊙기자: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긴급개입 권한을 강화하고 우범자는 반드시 기소하며 피해자 치료비를 국가가 보조합니다.
⊙홍미영(열린우리당 의원/법안발의): 사회적으로 가정폭력이 범죄다 하는 인식을 확인시켜줄 수 있는 그런 효과가 있다고 봅니다.
⊙기자: 가정, 사랑이 우선이지만 때로는 법의 보호도 필요합니다.
KBS뉴스 조성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시리즈
가정의 달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