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후]② 나무 베기가 제2의 녹화 사업?…“뜯어보면 발전 사업”

입력 2021.04.11 (14:56) 수정 2021.04.15 (20: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 위기의 시대'에 우리는 숲을 어떻게 가꿔 나가야 할까요. 어제에 이어 두 번째 순서입니다. 앞서 1편에서는 2050년에 '탄소 중립'이라는 성적표를 받기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산림 전략을 자세히 소개해드렸습니다.

[연관 기사] [취재후]① 지구를 구하기 위해 나무를 벤다고요?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159485

'탄소 중립을 이루려면 현재 유일한 탄소 흡수원인 숲을 잘 가꾸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그 숲이 늙어가면서 탄소를 잘 흡수하지 못한다, 그러니 나무를 베어낸 뒤 잘 쓰고, 새로 심어 탄소 흡수량을 늘려야 한다'는 게 산림청의 논리입니다.

논리적으로는 타당해 보이죠. 하지만 이런 산림청의 전략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작지 않습니다. 더 큰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는 건데요. 오늘(11일) 취재후 2편에서는 반대 의견을 전해드리겠습니다.

① 지구를 구하기 위해 나무를 벤다고요?
② 나무 베기가 제2의 녹화사업?…"뜯어보면 발전 사업"

■ 값싼 수입 목재 팰릿에 밀려 버려진 나뭇가지들

4월 초에 강원도 춘천의 한 벌채 현장을 찾았습니다. 이미 벌채가 상당히 진행된 곳이었는데요. 잘린 원목과 잔가지들이 곳곳에 쌓여 있었습니다.
강원 춘천시의 국유림 벌채 현장강원 춘천시의 국유림 벌채 현장

이미 목재 반출을 마친 산에도 나뭇가지들은 그대로 버려져 있습니다. 원목은 베어내면, 나무를 사들이기로 한 업체가 바로 거둬 가지만 나뭇가지는 가져가질 않습니다. 비용 때문입니다. 채집해 '바이오매스' 발전소 등에 연료로 팔아야 하는데 인건비가 많이 들어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는 거죠.

한국남동발전 영동에코발전본부(강원 강릉시)의 목재팰릿 하역장한국남동발전 영동에코발전본부(강원 강릉시)의 목재팰릿 하역장

그럼 국내 '바이오매스' 발전소는 어떤 연료를 사용하고 있을까요? 강릉의 한 바이오매스 발전소로 가 봤습니다.

마침 기차에서 '수입 목재 팰릿'을 하역하는 작업이 한창이었습니다. 목재 팰릿은 나무 잔가지 등 산림 부산물을 운반하기 쉽게 압축하고 가공한 형태입니다. 나뭇가지를 이렇게 한 차례 가공해서 발전 연료로 쓰는 겁니다.

지난해 한국남동발전 영동 에코발전본부에서 사용한 목재 팰릿 가운데 국산 비율은 26%에 불과합니다. 공기업이어서 이 정도입니다. 지난해 국내 전체 자급률은 10.2%로 더 낮았습니다. 정작 국내에서 베어낸 나뭇가지들은 버려지고, 대신 목재 팰릿을 수입해 와 발전 연료로 사용한 겁니다.

산림청의 탄소 저감 정책이 최대한 효과를 발휘하려면 '베고-쓰고-심기'의 순환 과정이 원활히 돌아가야 한다고 했었죠. 그중에서도 핵심은 '쓰기'이고요. 이대로라면 그 핵심 고리가 끊어진 셈입니다.

■ 석탄·나무 섞어 쓰는 '혼소' 발전소도 친환경?

정부는 보조금을 줘서라도 국산 목재 팰릿의 이용을 장려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6월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 변경을 앞두고 국산 바이오매스에 가중치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데요.

이 가중치를 높이면 일종의 보조금 혜택 효과가 생깁니다. 그동안은 단가가 맞지 않아 버리던 국산 나무 잔가지들도,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되는 겁니다.

국산 미이용 바이오매스를 압축·가공한 목재팰릿국산 미이용 바이오매스를 압축·가공한 목재팰릿

그런데 정부가 주는 신재생에너지의 가중치는 '비율'로 정해져 있죠. 국산 바이오매스 연료 가중치를 높이면, 태양광 등 다른 신재생에너지의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같은 신재생에너지 안에서 서로 경쟁하는 양상이 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이런 가중치를 석탄과 나무를 함께 떼는 '혼소' 발전소에도 적용한다는 점입니다. 산림 바이오매스를 연료로 쓰는 발전소 중에는 나무만 떼는 '전소' 발전소도 있지만, 석탄 등 다른 연료와 섞어 쓰는 '혼소' 발전소도 있습니다.

'혼소' 발전소는 석탄을 떼더라도 산림 바이오매스를 함께 이용한다는 이유로 신재생에너지가 받는 혜택을 받고 있는데요. 국산 목재 활용을 늘리려고 가중치를 조정했다가 이런 '혼소' 발전소의 경쟁력이 높아지는 모순적인 상황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벌채·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도 문제

근본적인 문제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나무를 벌채하는 과정에서 생태계가 훼손될 뿐만 아니라 각종 장비를 사용할 때 탄소가 배출되고요. 이를 운송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양의 탄소와 대기오염물질이 발생한다는 겁니다.


특히 현재는 국내 바이오매스 발전 환경이 대형 화력 발전소 위주로 돼 있는데요. 수입 바이오매스를 국산으로 대체하더라도 적지 않은 탄소가 발생할 거라고 환경단체 등은 주장합니다.

김수진 기후솔루션 선임연구원은 "대형 화력발전소 위주의 대규모 발전을 목적으로 무분별한 벌채를 하는 데다, 목재 수확이 한창인 요즘은 하루에도 수천 대의 트럭이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며 충북 및 강원도에 있는 대형 펠릿제조회사로 향하는 실정이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전국에 몇 곳 없는 대형 발전소와 대형 팰릿제조회사로 미이용 바이오매스가 집중되다 보니 당연히 운송 거리가 길어지고 에너지 생산 효율도 떨어진다는 설명입니다.

이 때문에 김 연구원은 "미이용 바이오매스를 채취한 지역 5~10km 반경 안에서 유통하고, 지역 내의 소규모 분산형 발전소에서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습니다.

■ "베고 심기만으로는 부족" vs "녹화사업 아닌 발전 사업"

지금까지 산림청 정책에 대한 우려, 반대의 목소리를 정리해 봤는데요. 그런데도 산림청이 바이오매스 발전을 확대하려는 이유는 '나무를 베고 심는 것'만으로는 늘릴 수 있는 탄소 흡수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어린나무로 새로 심어 늘어나는 산림의 탄소 흡수량은 2050년 기준 550만 톤 정도로 예상되는데요. 산림청의 목표대로 국내 바이오매스 발전을 늘리면, 화석 연료 사용을 대체해 480만 톤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나무 베고, 새로 심기'로 얻는 탄소 저감 효과에 크게 뒤지지 않는 겁니다. 또 이렇게 산림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있으면 향후 나무를 베고 심는 과정도 더 확대될 거라는 게 산림청의 기대입니다.

반면, 이에 대해 환경 단체의 반발은 거셉니다.

나무 베기의 목적이 정작 바이오매스 발전 확대를 위한 것 아니냐는 겁니다. 발전 사업을 위해 베지 않아도 될 나무까지 벨 거란 우려의 목소리도 큽니다. 녹화 사업이 아니라 '뜯어보니 발전 사업'이란 평가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1970년대 정부의 대대적인 산림 녹화사업은 나무를 심어 황폐해진 우리 국토를 푸르게 하는 일이어서 큰 이견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2050년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진행할 제2의 녹화 사업은 노령화된 나무를 베는 일부터 시작해야 해 견해 차이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두 편의 기사를 통해 기후 위기 시대에 우리 숲을 어떻게 가꿔야 할지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숲은 '백년대계'라고 하죠. 그만큼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존재이고 한 번 방향을 정하면 되돌리기 어렵습니다. '탄소 중립'이 시급한 건 맞지만, 더욱 신중하게 머리를 맞댈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취재후]② 나무 베기가 제2의 녹화 사업?…“뜯어보면 발전 사업”
    • 입력 2021-04-11 14:56:29
    • 수정2021-04-15 20:51:36
    취재후·사건후

'기후 위기의 시대'에 우리는 숲을 어떻게 가꿔 나가야 할까요. 어제에 이어 두 번째 순서입니다. 앞서 1편에서는 2050년에 '탄소 중립'이라는 성적표를 받기 위해 정부가 추진 중인 산림 전략을 자세히 소개해드렸습니다.

[연관 기사] [취재후]① 지구를 구하기 위해 나무를 벤다고요?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159485

'탄소 중립을 이루려면 현재 유일한 탄소 흡수원인 숲을 잘 가꾸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그 숲이 늙어가면서 탄소를 잘 흡수하지 못한다, 그러니 나무를 베어낸 뒤 잘 쓰고, 새로 심어 탄소 흡수량을 늘려야 한다'는 게 산림청의 논리입니다.

논리적으로는 타당해 보이죠. 하지만 이런 산림청의 전략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작지 않습니다. 더 큰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는 건데요. 오늘(11일) 취재후 2편에서는 반대 의견을 전해드리겠습니다.

① 지구를 구하기 위해 나무를 벤다고요?
② 나무 베기가 제2의 녹화사업?…"뜯어보면 발전 사업"

■ 값싼 수입 목재 팰릿에 밀려 버려진 나뭇가지들

4월 초에 강원도 춘천의 한 벌채 현장을 찾았습니다. 이미 벌채가 상당히 진행된 곳이었는데요. 잘린 원목과 잔가지들이 곳곳에 쌓여 있었습니다.
강원 춘천시의 국유림 벌채 현장
이미 목재 반출을 마친 산에도 나뭇가지들은 그대로 버려져 있습니다. 원목은 베어내면, 나무를 사들이기로 한 업체가 바로 거둬 가지만 나뭇가지는 가져가질 않습니다. 비용 때문입니다. 채집해 '바이오매스' 발전소 등에 연료로 팔아야 하는데 인건비가 많이 들어 '배보다 배꼽이 더 크다'는 거죠.

한국남동발전 영동에코발전본부(강원 강릉시)의 목재팰릿 하역장
그럼 국내 '바이오매스' 발전소는 어떤 연료를 사용하고 있을까요? 강릉의 한 바이오매스 발전소로 가 봤습니다.

마침 기차에서 '수입 목재 팰릿'을 하역하는 작업이 한창이었습니다. 목재 팰릿은 나무 잔가지 등 산림 부산물을 운반하기 쉽게 압축하고 가공한 형태입니다. 나뭇가지를 이렇게 한 차례 가공해서 발전 연료로 쓰는 겁니다.

지난해 한국남동발전 영동 에코발전본부에서 사용한 목재 팰릿 가운데 국산 비율은 26%에 불과합니다. 공기업이어서 이 정도입니다. 지난해 국내 전체 자급률은 10.2%로 더 낮았습니다. 정작 국내에서 베어낸 나뭇가지들은 버려지고, 대신 목재 팰릿을 수입해 와 발전 연료로 사용한 겁니다.

산림청의 탄소 저감 정책이 최대한 효과를 발휘하려면 '베고-쓰고-심기'의 순환 과정이 원활히 돌아가야 한다고 했었죠. 그중에서도 핵심은 '쓰기'이고요. 이대로라면 그 핵심 고리가 끊어진 셈입니다.

■ 석탄·나무 섞어 쓰는 '혼소' 발전소도 친환경?

정부는 보조금을 줘서라도 국산 목재 팰릿의 이용을 장려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6월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 변경을 앞두고 국산 바이오매스에 가중치를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데요.

이 가중치를 높이면 일종의 보조금 혜택 효과가 생깁니다. 그동안은 단가가 맞지 않아 버리던 국산 나무 잔가지들도,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되는 겁니다.

국산 미이용 바이오매스를 압축·가공한 목재팰릿
그런데 정부가 주는 신재생에너지의 가중치는 '비율'로 정해져 있죠. 국산 바이오매스 연료 가중치를 높이면, 태양광 등 다른 신재생에너지의 가중치가 상대적으로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같은 신재생에너지 안에서 서로 경쟁하는 양상이 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이런 가중치를 석탄과 나무를 함께 떼는 '혼소' 발전소에도 적용한다는 점입니다. 산림 바이오매스를 연료로 쓰는 발전소 중에는 나무만 떼는 '전소' 발전소도 있지만, 석탄 등 다른 연료와 섞어 쓰는 '혼소' 발전소도 있습니다.

'혼소' 발전소는 석탄을 떼더라도 산림 바이오매스를 함께 이용한다는 이유로 신재생에너지가 받는 혜택을 받고 있는데요. 국산 목재 활용을 늘리려고 가중치를 조정했다가 이런 '혼소' 발전소의 경쟁력이 높아지는 모순적인 상황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 벌채·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도 문제

근본적인 문제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나무를 벌채하는 과정에서 생태계가 훼손될 뿐만 아니라 각종 장비를 사용할 때 탄소가 배출되고요. 이를 운송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양의 탄소와 대기오염물질이 발생한다는 겁니다.


특히 현재는 국내 바이오매스 발전 환경이 대형 화력 발전소 위주로 돼 있는데요. 수입 바이오매스를 국산으로 대체하더라도 적지 않은 탄소가 발생할 거라고 환경단체 등은 주장합니다.

김수진 기후솔루션 선임연구원은 "대형 화력발전소 위주의 대규모 발전을 목적으로 무분별한 벌채를 하는 데다, 목재 수확이 한창인 요즘은 하루에도 수천 대의 트럭이 전국 방방곡곡을 누비며 충북 및 강원도에 있는 대형 펠릿제조회사로 향하는 실정이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전국에 몇 곳 없는 대형 발전소와 대형 팰릿제조회사로 미이용 바이오매스가 집중되다 보니 당연히 운송 거리가 길어지고 에너지 생산 효율도 떨어진다는 설명입니다.

이 때문에 김 연구원은 "미이용 바이오매스를 채취한 지역 5~10km 반경 안에서 유통하고, 지역 내의 소규모 분산형 발전소에서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습니다.

■ "베고 심기만으로는 부족" vs "녹화사업 아닌 발전 사업"

지금까지 산림청 정책에 대한 우려, 반대의 목소리를 정리해 봤는데요. 그런데도 산림청이 바이오매스 발전을 확대하려는 이유는 '나무를 베고 심는 것'만으로는 늘릴 수 있는 탄소 흡수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어린나무로 새로 심어 늘어나는 산림의 탄소 흡수량은 2050년 기준 550만 톤 정도로 예상되는데요. 산림청의 목표대로 국내 바이오매스 발전을 늘리면, 화석 연료 사용을 대체해 480만 톤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나무 베고, 새로 심기'로 얻는 탄소 저감 효과에 크게 뒤지지 않는 겁니다. 또 이렇게 산림의 안정적인 수요처가 있으면 향후 나무를 베고 심는 과정도 더 확대될 거라는 게 산림청의 기대입니다.

반면, 이에 대해 환경 단체의 반발은 거셉니다.

나무 베기의 목적이 정작 바이오매스 발전 확대를 위한 것 아니냐는 겁니다. 발전 사업을 위해 베지 않아도 될 나무까지 벨 거란 우려의 목소리도 큽니다. 녹화 사업이 아니라 '뜯어보니 발전 사업'이란 평가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1970년대 정부의 대대적인 산림 녹화사업은 나무를 심어 황폐해진 우리 국토를 푸르게 하는 일이어서 큰 이견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2050년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진행할 제2의 녹화 사업은 노령화된 나무를 베는 일부터 시작해야 해 견해 차이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

두 편의 기사를 통해 기후 위기 시대에 우리 숲을 어떻게 가꿔야 할지에 대해 살펴봤는데요. 숲은 '백년대계'라고 하죠. 그만큼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존재이고 한 번 방향을 정하면 되돌리기 어렵습니다. '탄소 중립'이 시급한 건 맞지만, 더욱 신중하게 머리를 맞댈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시리즈

생존을 위한 전환 ‘탄소중립’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